본문 바로가기
캐나다 생활 정보와 팁

✅ 캐나다 페이는? 주 비교 (최저시급 vs 물가, 워홀러 추천)

by 캣러버 2025. 3. 29.
반응형

임금, 인플레이션 사진

 

2025년 현재 캐나다의 최저임금은 대부분의 주에서 상승했지만, 동시에 인플레이션 역시 큰 폭으로 올라 체감 소득은 오히려 줄었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특히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일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에게는 실질임금과 생활비의 균형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본 글에서는 캐나다 주요 주들의 최저임금, 물가, 실질임금을 분석하고, 워홀러가 선택하기 좋은 지역까지 함께 안내합니다.


💰 [2025년 캐나다 주별 최저임금 현황]

2025년 기준 각 주의 법정 최저시급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캐나다 달러 기준)

주최저시급인상 시기
온타리오 (ON) $17.00 2024년 10월
브리티시컬럼비아 (BC) $17.40 2024년 6월
앨버타 (AB) $15.00 (동결) 2018년 이후 변화 없음
퀘벡 (QC) $15.75 2024년 5월
서스캐처원 (SK) $15.00 2024년 10월
매니토바 (MB) $15.50 2024년 10월

💡 대부분 주에서는 2023~2024년 사이 물가 급등에 따라 최저임금을 인상했으며, BC와 ON이 가장 높은 시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알버타주가 모든 주들보다 높은 시급을 유지하였으나 2018년 이후 동결상태로 인해 높은 인플레이션에 비해서 적은 임금으로 생활하고 있습니다.


📉 [실질임금 변화 – 최저시급 vs 인플레이션]

단순히 시급이 오른다고 해서 생활 수준이 올라가는 건 아닙니다.
다음은 2024~2025년 CPI(소비자 물가지수) 상승률과 실제 체감 임금을 반영한 분석입니다:

주최저시급CPI 상승률실질임금 체감도
BC $17.40 +5.2% 😐 실질 상승 미미
ON $17.00 +4.8% 😐 유지 수준
AB $15.00 +6.1% 😟 실질 임금 감소
QC $15.75 +4.5% 🙂 체감 상승
SK $15.00 +3.9% 🙂 소폭 상승
MB $15.50 +3.8% 🙂 안정적

📌 앨버타는 시급이 동결된 반면, 물가는 계속 상승해 실질임금이 떨어졌고
브리티시컬럼비아는 높은 시급에도 불구하고 생활비 증가로 인해 체감 상승 효과는 적은 편입니다.


🌍 [워홀러가 선택하기 좋은 캐나다 주는?]

워킹홀리데이 참가자라면 다음 3가지 기준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시급이 높을 것
  2. 물가가 낮거나 안정적일 것
  3. 일자리가 다양할 것

🔎 추천 주 TOP3 (2025 기준)

  • 퀘벡(QC): 낮은 생활비 + 괜찮은 시급 = 워홀러에게 실속 있는 선택
  • 매니토바(MB): 일자리 수요 많고, 물가 안정적
  • 브리티시컬럼비아(BC): 시급은 최고지만, 집세 비싸니 룸쉐어 필수

💡 **앨버타(AB)**는 물가는 계속 오르는데 시급은 6년째 동결 상태라 워홀러에겐 비추천입니다. (임금과 팁 둘다 적음)


✅ [요약]

2025년 현재, 캐나다 대부분의 주가 최저임금을 인상했지만 인플레이션의 압박으로 실질소득이 체감되진 않습니다.
워킹홀리데이 근로자는 단순히 시급만 보고 지역을 정하기보다, 생활비(특히 주거비)와 소비 패턴을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워홀러 TIP:

  • 퀘벡·매니토바 같은 중소형 도시에서 시작
  • 룸쉐어 구하고, 식비는 자취식단으로 절약
  • 시급 높은 곳보다 실질 수입과 지출의 밸런스가 핵심!
반응형